공지사항
갤러리
자료실
보도자료
Q&A
home > 커뮤니티 > 보도자료
5년간 100만호 공급…신혼희망타운 등 맞춤형 지원 공공주택지구 신규 개발…공공분양은 두 배로 확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한경DB
문재인정부 핵심 부동산 정책 가운데 하나인 ‘주거복지로드맵’이 29일 발표됐다. ‘8·2 부동산대책’을 통해 정책 수립이 예고된 지 3개월 만이다. 수요억제책 등 규제 일변도였던 현 정부의 첫 주택 공급 프로그램이다.정부는 이날 서울 수서동 LH(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홍보관에서 열린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통해 주거복지로드맵을 발표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반적인 주거의 질 향상에도 무주택 서민과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생애단계와 소득수준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주택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거복지로드맵은 앞으로 5년 동안 주택 100만호를 짓는 등 공급을 확대하는 내용이 골자다. 청년과 신혼부부, 고령층 등 다양한 계층에게 저렴한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금융·복지·일자리·육아 등 생애단계 진전에 맞춘 패키지 지원 방안이 담겼다.
◆‘뉴 스테이’ 공공성 강화…공공분양 2배 ↑정부는 2022년까지 수도권과 대도시 위주로 공적임대 85만호와 공공분양 15만호 등 총 100만호의 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통해 장기공공임대주택 재고율을 현재의 6.3%에서 9%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은 8%다.공공임대는 총 65만호가 공급된다. 연 평균 13만호다. 이명박정부(9만호)와 박근혜정부(11만호) 때보다 많은 물량이다. 특히 저소득층이 30년 이상 거주할 수 있는 장기임대주택 공급 물량이 대폭 늘어난다. 지난 5년 간 15만호가 공급됐지만 앞으로 5년 동안 28만호로 확대된다. 노후공공청사 복합개발이나 정비사업 재정착리츠 등 도심 공급 확대를 위한 방안도 마련된다.기업형 임대주택인 ‘뉴 스테이’는 공공성이 강화된다. 정부가 지원하는 대신 임대료나 입주자격을 제한하는 방식이다. 임대기간 8년 이상, 시세보다 낮은 초기 임대료, 무주택자 우선공급 등의 방안이 검토된다. 이 같은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리츠와 펀드 방식, 집주인 임대사업 등까지 합쳐 총 20만호가 공급된다. 이 가운데 6만호는 청년주택으로 활용된다.공공분양도 늘어난다. 지난 5년 대비 두 배가량 늘어난 연 평균 3만호를 공급한다. 특히 2013년 이후 공급이 없었던 전용면적 60~85㎡의 중형 공급은 4년 만에 재개된다. 다자녀가구 등의 수요를 고려한 결과다.민간분양용 공공택지 공급은 수도권 6만2000호를 포함해 연 평균 8만5000호 수준이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저렴한 민영주택 공급 확대를 유도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또한 이미 확보한 77만호 수준의 공공택지 외에도 신규 택지를 개발할 예정이다. ‘신혼희망타운’ 등 신규 지구 조성은 일자리 창출이나 스마트 시티 등과 연계해 육아 같은 복지 시스템까지 함께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생애단계·소득수준별 ‘맞춤형’ 주거지원주거복지서비스는 임대주택 공급과 금융지원가지 패키지로 지원된다. 수요자마다 다른 주거 수요를 감안해 청년과 신혼부부, 고령가구, 저소득·취약계층 등 구분에 따라 맞춤형으로 추진된다.만 39세 이하 무주택 청년에겐 소형 임대주택 30만실이 공급된다. 형태는 셰어하우스와 산단형, 여성안심주택 등으로 다양하다. 전월세자금 지원도 강화된다. 전세대출은 1인가구 연령제한이 종전 25세에서 19세로 완화되고 분할상환형이 도입된다. 월세대출은 대출한도가 월 30만에서 40만원으로 증액된다. 2년 뒤 대출을 연장할 때 상환해야 하는 비율은 25%에서 10%로 하향된다. 청년의 내 집 마련과 전셋집 마련을 돕기 위한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도입되고 주거와 관련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마이홈 포털 정보제공이 확대된다. 신혼부부를 위한 임대주택은 20만호가 공급되고 지원도 확대된다. 특히 시세의 80% 수준인 신혼희망타운은 7만호 규모로 공급된다. 이 가운데 70%가 서울 인근 등 수요가 많은 지역에 집중된다. 분양주택의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은 종전의 두 배로 확대된다. 공공은 30%, 민영은 20%다. 신혼부부의 기준은 완화된다. 현행 혼인기간 5년 이내 유자녀 부부에서 혼인 7년 이내 무자녀로 바뀐다. 또한 신혼부부용 주택구입 및 전세자금 대출 등 금융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고령가구에겐 5만호가 공급된다. 복지서비스와 연계한 임대주택과 노후주택 리모델링, 전세임대 등 다양한 방식이 도입된다. 영구·매입임대 1순위 자격엔 저소득 고령자 가구가 추가된다. 연금형 매입임대도 도입된다. LH가 고령자의 주택을 매입하거나 리모델링해 청년 등에게 임대한 뒤 매각대금을 연금처럼 고령자에게 분할지급하는 방식이다. 주택을 매각한 고령자에겐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된다.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도 늘어난다. 공공임대주택은 41만호가 공급되고 주거급여 지원대상과 금액이 확대된다. 거리로 내몰릴 위기에 처한 가구에겐 긴급지원주택을 제공하고 쪽방이나 비닐하우스 등 비(非)주택 거주자들을 위한 주거지원사업도 시작된다. 비정부단체(NGO)가 노숙인 등 수요자를 발굴해 LH의 임대주택과 자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주거약자용 주택은 중증장애인에게 우선 공급된다. 보호대상 아동을 위한 전세임대주택은 무상으로 지원되고 저소득 한부모 가정 등에 대한 소액 주거비 대출 등 아동 빈곤가구 보호도 강화된다. 취약계층이 가정 같은 환경에서 공동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그룹홈이 활성화된다. 그룹홈 생활자에겐 주거급여 지급이 검토된다.
◆120조 소요…제도 정비 등 후속조치 진행사업 추진에 소요되는 총 비용은 약 119조4000억원이 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연 평균 23조9000억원 수준이다. 재원 마련을 위해 지출 확대 여력이 충분한 주택도시기금 등 기금의 총 지출 규모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제도 정비도 진행된다. 우선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관리는 법무부 주관이었지만 주거복지와 임대차시장 안정이 연계 관리될 수 있도록 국토부 공동소관으로 변경이 추진된다. 주거실태조사를 강화하고 최저주거기준을 개선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공공임대 DB를 구축하는 등 임대주택 유지관리도 강화된다. 도심 노후 영구임대단지의 경우 재건축 및 에너지 절감형 그린 리모델링이 추진된다. 또한 복도식·판상형으로 획일화 된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극복을 위해 창의적인 특화설계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전형진 한경닷컴 기자 withmold@hankyung.com
<출처 : 한국경제 http://land.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11290234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