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갤러리
자료실
보도자료
Q&A
home > 커뮤니티 > 보도자료
신용대출 금리 5% 시대 '코앞'기준금리 1.25% '인상'…"1.5%도 긴축으로 볼 수 없다"추가 인상 가능성에 은행채 금리 상승 전망"가계, 변동금리 비중 줄이는 등 대응해야"사진=연합뉴스#. 최근 마이너스 통장을 연장한 박지연(가명)씨는 깜짝 놀랐다. 대출금리가 4.88%로 지난해 2.91%보다 2%포인트나 가까이 올랐기 때문이다. 그는 "비대면 연장이 안 된다고 해서 은행 영업점까지 찾아갔는데, 창구에선 기준금리 때문에 이렇게 올릴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며 "앞으로 기준금리는 더 오를 것 같은데 도대체 이자는 얼마나 더 늘어날 지 갑갑하기만 하다"고 토로했다.기준금리가 1.25%로 인상되면서 대출 차주들의 이자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8월부터 5개월새 기준금리는 0.75%포인트가 오른 가운데 추가로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있어서다.1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연 1.0%에서 1.25%로 인상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22개월 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다. 금통위는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한 이유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불확실성에도 성장세 지속 △예상보다 가파른 물가상승세 △금융불균형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7%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10년 만에 최고치였다. 이는 한은의 물가 안정 목표(2%)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본격적으로 금리인상기에 접어들면서 대출 차주들의 이자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2조9000억원 증가한다.문제는 금리가 추가로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4일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한 직후 "지금도 실물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며 "기준금리가 1.50%가 되더라도 긴축으로 볼 순 없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처럼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대출금리는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금리는 은행채 등 지표금리를 따르는데, 은행채 금리는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한다는 점에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1.790%,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2.410%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9%포인트 가량 오른 수준이다.주택담보대출 금리는 6%대로 치솟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지난 14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 상품은 3.57~5.07% 수준이다. 5년 고정 혼합형 상품의 경우는 3.75~5.51%로 집계됐다. 신용대출 금리는 5%대로 높아질 전망이다. 4대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3.39~4.73%로, 1년 전 금리가 2%대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2%포인트 이상 확대된 수준이다.당분간 적격대출과 같은 고정금리 대출상품에 대한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재도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를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면서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어 가계가 노력할 필요는 있다"며 "소득 수준에 비해 과도한 부채는 감축해야 하고, 변동금리 비중을 줄이는 등 금리 변동 위험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고승범 금융위원장도 지난 14일 "가계, 기업 등 경제주체들은 저금리가 상수(常數)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금리상승 국면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민간 스스로 상환부담 증가에 대비해 '갚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빌리고, 조금씩 나눠 갚는 관행'을 통해 불필요한 부채는 줄여야 한다"며 "과도한 레버리지를 일으켜 고평가된 자산에 투자하는 위험추구 행위는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출처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11496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