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갤러리
자료실
보도자료
Q&A
home > 커뮤니티 > 보도자료
전국에 84만가구 공급LH 등 공공기관이 사업 주도…2025년까지 서울에 32만가구2년 거주·초과이익 환수 면제…일반공급 15%서 50%로 확대‘2·4대책’의 핵심인 공공 주도 정비사업의 유력한 후보지로 꼽히는 서울 종로구 창신동의 뉴타운 해제지역.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창신, 장위 등 옛 뉴타운을 비롯해 서울 도심에서 그동안 정비되지 않고 남아 있던 222개 구역의 개발 빗장이 풀린다. 공공이 개발해 2025년까지 서울 32만3000가구를 포함해 전국에 83만6000가구를 공급한다.정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정부의 25번째 부동산대책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공급 물량을 담았다.
정부는 그동안 3기 신도시 등으로 서울 외곽 공급을 늘리면서도 정작 도심 재건축·재개발은 규제로 묶었다. 강남 등의 재건축이 집값 상승의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번 대책에서 도심 정비사업 개발을 선언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이 사업 주체가 되는 게 전제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를 개발해 서울에 11만7000가구를 새로 짓는다. 공공이 재건축·재개발의 주체가 되는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을 통해서도 9만3000가구를 내놓는다. 두 사업 모두 주민 3분의 2 동의로 추진되며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적용 제외,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을 받는다. 정부는 10년 이상 걸리는 정비사업 기간이 5년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정부는 서울에서 노후 요건 등을 충족한 222개 구역을 공공참여 우선추진 검토구역으로 선정했다. 창신, 장위 등 뉴타운 해제지역을 포함해 상당수 재건축·재개발구역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정부는 3040세대에 내집 마련 기회를 주기 위해 분양 기준도 손질했다. 현재 15%인 전용면적 85㎡ 이하 일반공급 비중을 50%로 확대하고, 일반공급의 30%는 추첨제로 당첨자를 뽑기로 했다.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국 공급 물량 83만6000가구 가운데 26만3000가구를 차지하는 신규 택지도 상반기 차례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조합 없이 LH가 직접 재건축·재개발…서울 9.3만가구 공급 공공 주도 개발 어떻게 하나“공급쇼크 수준의 물량으로 주택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확신한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 대책’을 발표하면서 강조한 말이다. 정부가 83만6000가구라는 역대 최대의 주택공급 방안을 내놓은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정부는 △주택공급 불안심리를 잠재우고 △수요가 몰리는 서울 도심에 새 아파트를 공급하고 △노후 지역의 주거환경도 개선하기로 했다. 서울 공급 물량인 32만3000가구는 강남3구 전체 아파트 수와 비슷한 규모다.재건축·재개발, 공공이 직접 한다이번 대책으로 전국에 공급하는 83만6000가구 가운데 60%가량을 공공 주도 개발이 차지한다. 역세권·준공업지역·저층주거지를 개발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 19만6000가구, 공공이 재건축·재개발을 직접 하는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이 13만6000가구다. 둘을 합하면 33만3000가구에 달한다. 전국 공급 물량에서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신규 택지(26만3000가구)를 뺀 57만3000가구의 58%가량 된다.
정부는 우선 공공주택특별법을 개정해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을 추진한다. 정부가 지구를 지정하기 때문에 조합이 필요 없어진다. 토지주와 민간기업, 지방자치단체 등이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 사업을 제안하면 국토교통부와 지자체 검토를 거쳐 예정지구로 지정한다. 예정지구 지정 1년 내 토지주 등의 3분의 2가 동의하면 사업이 확정된다.토지 소유자는 장래 부담할 신축 아파트 및 상가 가격을 기존 보유 자산으로 현물선납한 뒤 정산하게 된다. 이들 지역에 법적 상한의 최대 140%까지 용적률을 높여주고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해 각종 도시규제를 완화해준다.정부는 토지 소유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이들에게 기존 자체 사업 대비 10~30%포인트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고 아파트와 상가 우선 공급권도 준다. 토지주에게 보장한 추가수익 외 개발 이익은 공공이 환수한다. 이는 공공주택 마련 비용에 쓰거나 세입자·영세상인의 이주 및 생계지원, 지역사회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등에 활용된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서울 11만7000가구, 전국 19만6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도 공공기관이 주민 동의를 얻어 사업을 추진하는 형태다. 기존 정비조합이 있는 곳에선 조합원 과반수의 요청으로 사업이 시행된다. 조합이 없는 지역에선 토지 등 소유자의 과반수로 신청하고 1년 내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야 확정된다. 지자체 통합심의 등을 통해 기존 13년 이상 걸렸던 사업기간을 5년(이주 완료 시점) 이내로 단축시키겠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이를 통해 서울 9만3000가구, 전국 13만6000가구를 공급한다는 복안이다.뉴타운 해제지역 등 개발 길 열려공공 주도 개발로 기존 뉴타운 해제지역과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정비구역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 업계에선 창신, 장위 등 뉴타운 내 해제지역과 옛 마천2구역 같은 역세권 지역에서 사업이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관측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뉴타운 해제구역은 108개며 서울 내 재개발 추진지역은 303개, 재건축 추진단지는 329개다. 국토부는 이들 중 222곳을 ‘공공참여 우선추진 검토구역’으로 선정했다.정비업계의 반응은 엇갈렸다. 서울 압구정과 은마아파트 등 알짜 재건축 단지에선 공공 주도 개발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사업을 통해 받는 혜택보다 공공성을 높이면서 잃는 이익이 더 크다고 봐서다. 기존 공공재개발 사업에 참여 의향을 밝힌 곳에서도 부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공공재개발 후보지에 공모한 전농동 전농9예정구역 관계자는 “공공 주도 정비사업은 공공재개발과 달리 분양가 상한제를 면제하겠다는 내용이 아직 없다”며 “토지거래허가제도 기존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를 제약할 것”이라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사업성이 떨어지거나 주민 동의율이 낮은 곳에서 제한적인 관심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강영훈 부동산스터디 카페 대표는 “공공 주도 정비사업이 도입됐다고 해서 기존 사업 방식이 없어지진 않았다”며 “서울의 경우 보궐선거 이후 나올 선택지를 보고 고민하는 조합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최진석/이유정/강진규 기자 iskra@hankyung.com<출처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20400191?utm_source=naver&utm_medium=naver_newsstandcast&utm_campaign=newsstandcast_naver_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