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갤러리
자료실
보도자료
Q&A
home > 커뮤니티 > 보도자료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들어선다정부, 6대 첨단산업·15개 산단 육성550조 민간투자삼성, 20년간 300조 투자파운드리 공장 5개 신축산업계 "윤석열 대통령핵심 전략산업 육성 통큰 결단"< 尹 “첨단산업은 안보 자산” > 정부가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어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과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회의에서 “첨단산업은 핵심 성장 엔진이자 안보 전략자산”이라며 “정부는 민간의 투자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정부가 경기 용인에 710만㎡ 규모의 세계 최대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산업단지)를 조성한다. 삼성전자는 용인 클러스터에 5개 최첨단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장을 짓는 등 총 300조원을 투자한다. 산업계에서는 국가 핵심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통 큰 결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정부는 15일 윤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과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첨단산업에서 초강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6대 핵심 과제와 전국을 첨단산업기지로 조성하는 15개 국가산업단지 조성 전략이다.이날 발표의 핵심은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조성이다. 삼성전자는 2042년까지 20년간 총 300조원을 투자해 용인 클러스터에 파운드리 공장 5개를 짓는다. 용인 클러스터 면적은 289만㎡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의 약 2.5배 수준이다.용인 클러스터 조성이 완료되면 경기 남부에 기존 반도체 생산기지(화성, 이천, 평택 등)와 용인을 잇는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메가클러스터가 완성된다. 윤 대통령은 “기존 150개 이상의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판교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기업) 등과 연계해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를 세계 최대 규모로 키우겠다”고 말했다.정부는 2026년까지 반도체(340조원)를 포함해 미래차(95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2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로봇(1조7000억원) 등 6개 첨단산업에서 550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이끌어낼 방침이다.투자에는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주요 그룹이 참여한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에서 시작된 경제 전쟁터가 배터리, 미래차 등 첨단산업 전체로 확장하면서 ‘죽느냐 사느냐’의 상황이 되고 있다”며 “민간 투자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정부는 입지, 연구개발(R&D), 인력 육성, 세제 등의 지원을 빈틈없이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와 관련해 정부는 △초격차 기술력 확보 △혁신 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 △튼튼한 생태계 구축 △투자특국(投資特國) △통상역량 강화 등을 6대 국가 총력 지원과제로 선정했다.
정부가 15일 ‘시스템반도체 특화 산업단지(클러스터)’ 후보지로 선정한 경기 용인시 남사읍 일대. 삼성전자는 300조원을 투자해 용인 클러스터에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 5개를 짓는다. 임대철 기자"반도체 중심은 美·中 아닌 한국"…삼성, 300兆 파운드리 승부수삼성전자가 ‘포스트 평택’ 부지로 경기 용인시 남사읍을 낙점했다. 삼성이 왜 이곳을 택했는지는 지도를 펴면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경부고속도로와 고속철도 동탄역에서 멀지 않고 기존 반도체 생산기지인 화성과 평택의 가운데에 있다. 기존 인프라를 공유할 수 있는 ‘클러스터(산업단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안보 핵심’ 반도체 생산기지 사수
삼성전자는 15일 “용인 남사읍 710만㎡ 부지에 20년간 300조원을 들여 최첨단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장 5개를 짓는다”고 발표했다. 단일 단지 기준 세계 최대 규모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라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삼성전자는 그동안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로부터 ‘공장을 지어달라’는 러브콜과 압박을 동시에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용인을 ‘차세대 평택’으로 점찍은 건 반도체 공장이 경제·안보에서 지니는 중요성 때문이다. 반도체산업은 2020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5.6%, 전체 설비투자액의 24.2%, 총수출의 19.4%를 담당했다.삼성전자의 차세대 공장이 미국이나 EU로 가게 되면 ‘반도체 생산 중심국’이란 한국의 위상은 크게 낮아진다. 글로벌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업체) 등이 몰려와 누릴 경제효과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관점에서 보면 한국 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완화해 대형 반도체 생산기지를 유치하는 승부수를 던진 것”이라고 평가했다.○“TSMC 추격 발판 삼는다”
삼성전자에도 남는 장사다. 용인 클러스터와 기존 반도체 생산기지인 기흥, 이천, 평택, 화성을 잇는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메가클러스터가 완성되기 때문이다. 반도체 연관 산업의 획기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메가클러스터는 메모리,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팹리스, 소부장 등 반도체 전 분야 밸류체인과 국내외 우수 인재를 집적한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의 선도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용인에 들어설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을 ‘TSMC 추월’의 발판으로 삼을 계획이다.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에서 삼성전자는 세계 1위인 대만 TSMC에 40%포인트 뒤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기술력은 대등한 수준이란 평가가 나온다. 현재 5나노미터(㎚, 1㎚=10억분의 1m) 이하 파운드리 공정은 삼성전자와 TSMC만 가능하다. 이런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생산시설 부족과 같은 ‘물리적인 한계’로 인해 TSMC와의 시장점유율 격차를 쉽게 좁히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용인 클러스터를 통해 파운드리 생산 용량을 추가로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에선 용인 클러스터에 삼성이 쏟을 대규모 투자에 대해 “한국이 글로벌 최첨단 반도체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막대한 경제적 효과도 예상된다. 용인에 300조원이 투자되면 700조원에 달하는 직·간접 생산유발 효과, 160만 명 수준의 고용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외신들은 ‘한국이 반도체 패권 전쟁에 동참했다’고 긴급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기술 패권을 잡기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이라며 “삼성의 투자는 글로벌 반도체 제조를 선도하겠다는 한국의 야망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황정수/오형주/정지은 기자 hjs@hankyung.com
<출처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31515631>